The Complete Book of Everyday Christianity by Robert Banks and R. Paul Stevens의 Television 부분 중 일부를 번역하여 나눕니다.
원문은 다음의 링크를 참고바랍니다.
http://www.urbana.org/complete-book-of-everyday-christianity/televison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확실히 20세기 후반 이래로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는 가장 영향력 있는 매스 미디어입니다. 텔레비전은 전세계에 걸쳐 전사회적 계층들을 망라하여 모든 연령층의 사람들 사이에서 인기있는 매체입니다. 동시에 텔레비전은 찬사와 비판을 모두 불러일으키는 가장 불완전하게 이해되고 있는 미디어 중의 하나입니다. 게다가 텔레비전의 사용은 미디어가 삶의 모든 영역에 배어 있게 된 이후로 단순한 분류를 허용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텔레비전과 영화, 비디오, 그리고 컴퓨터의 결합은 텔레비전을 정의하고 평가하는 것을 훨씬 더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텔레비전의 매력
인간에 대한 텔레비전의 매력은 분명히 보편적인 것입니다. 텔레비전은 이용자의 측면에서 읽기 및 쓰기 능력과 보다 많은 정신적․신체적 능력을 요하는 인쇄된 문자나 심지어는 매혹적인 이미지들이 결여되어 있는 라디오보다 거의 신비스럽고도 확실히 더 시청자들을 사로잡습니다. 아주 어린 시절부터 생애의 마지막까지 사람들은 가능하고 시간이 있는 한 텔레비전을 볼 것입니다. 사실 텔레비전 시청이 다른 모든 유형의 오락과 모든 형태의 레저를 꾸준히 능가하고 있다는 상당한 증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북미에서는 텔레비전 시청 시간이 다른 모든 형태의 오락을 합친 시간보다 더 많습니다.
아마도 텔레비전의 가장 매력적인 두 가지 측면은 텔레비전에 나오는 드라마와 인물일 것입니다. 텔레비전의 가장 대중적인 이용은 드라마틱한 이야기들과 같은 메시지들을 전달하는 것입니다. 이는 연속 홈 코미디, 연속극, 경찰 드라마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많은 광고와 거의 모든 뉴스 이야기들, 다큐멘터리, 스포츠 경기, 영화, 아이들을 위한 애니메이션쇼, 그리고 뮤직 비디오의 경우에도 진실입니다.
텔레비전의 매력적인 인물 이용도 동일하게 텔레비전에 널리 퍼져있는 현상입니다. 픽션 프로그램에서 텔레비전은 유명인사들이나 스타들에 의해 연기되는 모든 유형의 사람들을 표현합니다. 동시에 텔레비전은 토크쇼 진행자와 게스트, 뉴스 기자와 앵커, 버라이어티쇼 진행자, 스포츠 선수와 해설자들, 그리고 텔레비전 전도자들 같은 인물들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드라마와 인물의 결합은 시청자와 텔레비전에 나오는 유명인들 사이에 가상적 관계(pseudorelationship)를 형성합니다. 시청자들은 마치 그들이 많은 유명인들을 알고 있는 것처럼 느낍니다.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종류의 가상적 관계가 무비판적이고, 주로 비이성적인 신뢰(예컨대 TV 설교자나 기자를 신뢰하는 것)를 형성하기도 하고, 현실과 가상에 대한 구별을 불가능하게 하기도 하며(예컨대, 연속극 시청자들이 허구적인 결혼에 대하여 가지는 정서적인 몰입), 심지어는 실제의 삶 속에서의 관계보다 텔레비전에 나오는 인물들에 대해 보다 더 헌신하도록 하기도 합니다.
현실적 삶과 텔레비전 간에 균형을 잡기
시청자들은 텔레비전이 가져다주는 가상적 관계와 시청자들이 현실에서 접하는 사람들 상호간의 관계들 사이에서 건강한 균형을 유지해야 합니다. 북미에서 평균적인 부모들은 매일 4시간 넘게 텔레비전을 보는데 시간을 보내고 있지만, 배우자와 대화를 하는데는 단지 4분만을 쓰고, 자녀들과 대화하는데는 놀랍게도 매일 30초만을 사용합니다. 소설가이자 사회비평가인 저지 코신스키(Jerzy Kosinski)는 「거기에 있는 것」(Being There)이라는 책에서 많은 고독한 시청자들이 “멍한 화상 응시자(혹은 ‘텔레비전광’, 원문은 videots는 vidiots라고 추정된다-역주)”가 되어가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수동적이고, 생각이 없으며, 고독한 시청자들로서 일반적인 사회적 상호관계를 누릴 수 없는 사람들입니다. 비록 이러한 종류의 논리는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교사들과 심리학자들, 사회사업가들과 기타 전문가들로부터 이를 지지하는 풍부한 증거들이 존재합니다.
대부분의 가족들에게, 텔레비전 시청시간을 하루에 한 시간이나 두 시간으로 제한하는 것은 특히 혼자 텔레비전을 보는 것이 아니라 가족들이 함께 보는 경우에는 텔레비전에 탐닉하는 경향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될 것입니다. 그에 더하여, 가정에서 개인적으로 볼 수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이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너무나도 많은 부모들이 가족들 각자에게 텔레비전 수상기를 줌으로써 무엇을 시청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마지막으로, 가정에서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위치도 또한 중요합니다; 예컨대 거실이나 가족방의 가구들이 텔레비전 수상기를 중심으로 그 주변으로 배치가 된다면, 대화가 아니라 텔레비전 시청이 가정에서의 여가 시간을 지배하게 될 것입니다.
텔레비전 시청(Viewing) 대(對) 텔레비전 보기(Watching)
그리스도인들은 단지 텔레비전을 보는 것 대신에 텔레비전을 어떻게 시청할 것인지를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청(viewing)은 텔레비전에서 보여지는 메시지에 대한 적극적이고 안목을 가진 반응인 반면에, 텔레비전을 단지 보는 것(watching)은 수동적이고 대개는 무비판적인 것입니다. 시청은 시청자로 하여금 텔레비전 메시지에 생기를 불어넣는 가치들과 신념들을 발견하도록 요구합니다.
닐 포스트만(Neil Postman)은 텔레비전이 언어보다는 이미지를 강조함으로써 본래부터 비판적인 생각을 쇠퇴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비록 이러한 일반화에는 의심할바 없이 어떤 진실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이는 시청자들이 이미지, 특히 영상 이미지에 의한 이야기들이 전달하는 의미에 대하여 생각하기를 배울 수 없다고 잘못 평가하고 있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프로그램들에 대하여 평가하고 반성해보도록 구비시킴으로써 이러한 종류의 영상 독해 능력이 문제들을 단순화시키는 텔레비전의 경향성에 대하여 대적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인의 관점에서, 시청(viewing)은 대중문화를 통하여 전달되는 세속적인 신념의 풍조들(에베소서 4:14)에 대한 영적 안목을 자라게 합니다. 시청(viewing)은 시청자로 하여금 텔레비전이라는 대중적인 오락의 이면에 있는 세계관을 확인하고 평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모든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을 하나님의 말씀의 맥락 안에 위치지웁니다.
시청(viewing)은 부모, 목사, 그리고 교사들에 의해 특히 육성될 수 있습니다. 부모들은 자녀들과 프로그램들을 함께 보고 이에 대하여 토론해야 합니다. 이는 통상적이며 비정형적인 활동으로서는 가장 효과적인 것입니다. 목사들은 설교와 기타의 성경 교육에 있어서 사례를 드는 것에 유명한 TV 속 인물들과 프로그램들을 사용함으로써 성경적 안목을 기를 수 있는 상당한 잠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교사들은 교과과정에 있어서 강의와 토론에 영상의 일부분을 접목함으로써 안목을 기르도록 할 수 있는 많은 기회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학생들은 그들이 보고 있는 바에 대하여 생각하는 것을 배울 뿐만 아니라 대중적 이미지들을 학업과 관련지우는 법도 배우게 됩니다.
아이들과 텔레비전
아이들은 종종 지루함을 피하기 위해 너무나도 많은 시간동안 텔레비전을 봅니다. 많은 부모들이 텔레비전을 보모로 활용함으로써 아이들이 더욱더 텔레비전을 많이 보도록 조장합니다. 특히 등교 전에나 방과 후, 토요일 아침이나 식사 준비시간동안에 부모들은 텔레비전을 아이들의 보모로 활용합니다. 주요한 연구는 아이들에 의한 이런 식의 무제한적인 텔레비전 이용은 지혜로운 것이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약 8살이 될 때까지는, 아이들은 그 자신의 비판적인 능력을 가지고 프로그램들을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어린 아이들일수록 현실의 삶과 텔레비전의 허구적인 내용을 구분하는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게다가 아이들은 텔레비전에서 나오는 이야기들의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없습니다; 텔레비전에 대한 그들의 이해는 대개 드라마적인 활동이나 이벤트들을 묘사하는 것에 제한이 됩니다. 종종 어떤 쇼에 대한 아이들의 이해는 어른들의 통상적 이해와는 매우 다릅니다.
그러므로, 부모들이 자녀들의 텔레비전 이용을 주의 깊게 모니터하고 감독하는 것은 필수적인 것입니다. 이러한 모니터와 감독에는 다음의 사항들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1) 어린 시청자들을 위한 적절한 프로그램들에 대한 현명한 선택; (2) 부모들이 자녀들과 함께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것 (3) 자녀들과 함께 부모들이 프로그램들에 대하여 토론하는 것, 특히 각각의 자녀가 프로그램들에 정서적으로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에 대한 토론
부모들은 또한 자녀들의 텔레비전 시청 시간과 다른 중요한 활동들이 균형을 이루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들의 독서 능력은 종종 과도한 텔레비전 시청 때문에 발달되지 않기도 합니다. 때때로 사회적인 능력도 아이가 다른 아이들과 상호작용하는 적절한 시간을 보내지 않는다면 동일하게 부진해지기도 합니다. 가정에서의 자녀들의 통상적인 수면 패턴도 부모들이 텔레비전 시청시간을 적절하게 통제하지 않으면 망가지기도 합니다.
결론적으로 텔레비전 시청은 자녀들의 다양한 잘못된 행동들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비록 그 이유가 정확히 알려진 것은 아니라 할지라도 말입니다. 예컨대 텔레비전은 아이들 사이에서 비정상적으로 지나치게 활동적인 양상을 보이는 것을 더 악화시킵니다. 또한 텔레비전은 민감한 아이들에 있어 주의력 결핍 문제를 야기하기도 합니다. 텔레비전과 아이들의 행동 사이의 이러한 연관성은 종종 특정한 아이들에게 나타나는 특이한 것이기 때문에, 부모들은 자녀의 텔레비전 시청을 잘 살펴보는 것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텔레비전의 미래
텔레비전은 사회의 모든 영역, 특히 가족들의 삶과 교육에 있어서 그 역할이 증대될 것으로 보이는 급격히 진화하는 매체입니다. 텔레비전과 컴퓨터가 결합됨에 따라, 텔레비전은 그 컨텐츠를 더욱 확대하고 전문화할 것입니다. 이는 그리스도인들이 텔레비전을 지혜롭게 사용하는데 있어서 더욱 도전을 줄 것입니다.
시청자들은 폭넓은 메뉴 선택권을 가지고 언제라도 특정한 프로그램들을 선택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소위 말하는 채널 서핑(channel surfing)은 메뉴 서핑(menu surfing)으로 바뀔 것입니다.
이러한 종류의 텔레비전의 풍부한 발전은 그리스도인들에게 긍정적인 기회뿐만 아니라 심각한 도전들을 주고 있습니다. 교훈적인 교육물과 질좋은 드라마를 포함하여 수많은 가치 있는 프로그램들이 생길 것입니다. 그러나 새로운 텔레비전의 전망은 또한 사회적으로 수용될 수 없는 생활양식으로 살거나 비기독교적 종교를 믿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특별한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기독교 윤리의 한계에 도전할 것입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새로운 텔레비전 기술을 생각없이 채택하는 일은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부모들은 새로운 텔레비전 기술들을 가족들이 이용하는 것에 대한 기준들을 미리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 이에 더하여 지역 교회의 성도들과 기독교 학교들은 비판적인 시청 기법을 개발하고 좋은 프로그램들에 대한 제안을 공유함으로써 개인들과 가족들이 신실하게 살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습니다.
- 퀀틴 슐츠(Quentin J. Shultze)
'일상영성과 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V를 끄면 마음이 열립니다. (0) | 2010.11.01 |
---|